KDI 정책포럼 환율상승에 따른 환차손 증가는 수출호조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에 의해 상계되는가?
- 국문요약
-
□ 2005~07년 기간 동안 있었던 우리나라 수출업체들과 해외증권투자자들의 대규모 통화선도 매도는 2008/2009년 외화유동성 위기를 초래한 원인 중 하나임.
- 통화선도 매도는 거래상대방인 국내은행의 통화선도 매입을 초래했고, 이는 다시 환위험을 헤지하기 위한 국내은행의 대규모 외화차입을 초래
□ 한편, 통화선도 매입의 규모가 충분했으면 이것이 통화선도 매도를 상당 부분 상쇄시켜 국내은행의 대규모 달러화차입 유인을 크게 줄였을 것이나, 해당 기간 동안 통화선도 매입규모는 매우 작았음.
□ 따라서 향후 외화유동성 위기의 재연을 막는 한 가지 정책방안으로 통화선도 매입독려정책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사실상 이러한 시도도 있었음.
□ 그러나 원유, 철광석 등 원자재를 수입하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대규모 환차손에도 불구하고 통화선도 매입을 할 경제적 유인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됨.
- 환율이 상승할 때 대규모 환차손을 경험하지만 매출액 대비 수출비중도 높아 환차손을 상계하고도 남을 정도로 영업이익이 증가
□ 이는 결국 외화유동성 위기 예방 차원에서 이들 기업의 통화선도 매입을 독려하는 정책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임을 시사
- 목차
-
요 약
1. 배경 및 목적
2. 가 설
3. 방법론
4. 표본과 자료 출처
5. 분석 결과
6. 결 론
<참 고 문 헌>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 주요 관련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