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FOCUS 자본시장을 통한 사회적 기업의 재원조달 활성화 방안 2011.06.07

Series No. 통권 제6호
- 국문요약
-
□ 자본시장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재원을 원활히 조달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를 찾아서 투자하는 한국형 사회적 벤처캐피털을 설계해야 하고, 은행 및 저축은행이 윤리은행과 같이 사회적·환경적·윤리적 사업에 대출과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상호보증제도 도입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우수한 사회적 기업을 구별해 주는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 다양한 형태의 예비적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 사회적 기업가의 사업 확장을 지원할 필요
- 사회적 벤처펀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투자 전문가가 운용해야
- 투자기회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이를 실행시킬 수 있는 기업가가 존재할 때 창출됨
- 지금은 기존의 저축은행을 윤리은행으로 바꿀 수 있는 좋은 시기
- 미소금융사업자들은 궁극적으로 윤리은행으로 발전시켜야
- 착한 가게는 사회적 기업가를 소비자와 투자자에게 연결
- 사회적 기업 / 기업가 평가시스템 도입과 온라인을 활용한 생태계 구축도 필요
- 정부는 시장의 효율성을 해치지 않는 수준의 보조금을 지급해야
- 목차
-
Ⅰ. 서 론
Ⅱ. 사회적 기업의 재원조달 활성화를 위한 임팩트 투자 활성화 방안
Ⅲ. 결 론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 주요 관련자료
- 같은 주제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