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가 주관하는 국제회의와 전문가들의 공청회·토론회 및 원 내외에서 발표된 자료입니다.
예비타당성조사 20년에 대한 회고와 향후 발전을 위한 모색
[0-1] 기조연설1
[0-2] 기조연설2
[1-1] 한국 예비타당성조사의 경험과 교훈
[1-2] 한국과 해외 사례 비교- 공공투자관리의 법과 제도적 체계
[1-3] 한국의 공공투자관리 정책 방향
[2-1] 공공투자관리평가에 대한 진단과 권고
[2-2] 공공투자관리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2-3] 공공투자관리 정책 결정 및 행동계획: 투자수익 성과 반영 방안
[3-1] 공공지출과 공공투자사업을 위한 재정 준칙
[3-2] 한국의 자본 예산과 공공투자사업
[3-3] 공공투자사업의 재정관리를 위한 통합재정관리정보시스템과 공공투자관리시스템의 연계
[4-1] 공기업 사업에 대한 공공투자관리
[4-2] 민간투자사업(PPP)에 대한 공공투자관리의 한국 사례
[4-3] 인구고령화 시대의 SOC 교통분야 투자의 적정규모
[4-0] 토론
[5-1] 인프라사업의 거버넌스 및 한국에 주는 시사점
[5-2] 예비타당성조사는 어떻게 프레임 되고 있는가?
[5-3] 한국 공공투자관리 제도의 도전과 과제
[2_1-1] 유발수요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연구
[2_1-2] 증거기반 정책 의사결정 기술을 활용한 정책효과 평가기법 개선
[2_1-3] 사회복지 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쟁점 분석
[2_1-4] 문화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문제점과 과제
[2_1-5] 예비타당성조사 내 지역균형발전분석의 역할과 성과
COPYRIGHT © 2015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가입하신 이동통신사의 요금제에 따라데이터 요금이 과다하게 부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