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퍼런스
- 1일차 / 9월 5일 (목)
- 09:00-09:30
등록 및 네트워킹
- 09:30-10:00
개회식
- 개회사 구윤철 기획재정부 제2차관
- 환영사 최정표 KDI 원장
- 축 사정해구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 10:00-11:30
기조세션
- 기조발제 플랫폼 시대의 재정 혁신 패러다임을 향해: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정책기획과 실시간 추적 관리 시스템 차상균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설립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
- 포럼개요소개 안상훈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소장
에드윈 라우 OECD 공공거버넌스국 예산·공공지출부장
- 11:30-13:00
오찬
- 13:00-15:00
세션 1. 열린 정책형성을 통한 효과적 재원배분 전략 수립
- 사 회 서중해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
- 발표 1 정책 랩(Policy Lab): 수요중심의 정책 혁신레베카 필리스 스웨덴국세청 조세팀장
- 발표 2 영국의 정책 과정 혁신: 정부와 학계의 협력 강화 방안크리스 웨버 영국 내각사무처 개방형혁신팀장
- 발표 3 한국의 정책 과정 혁신: ‘열린 정책 랩(Open Policy Lab)’ 운영을 중심으로조세현 한국행정연구원 정부혁신연구실장
- 토 론 이승호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황석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시스템연구본부장
최상대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 15:00-15:20
휴식
- 15:20-17:20
세션 2. 재정집행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
- 사 회 이태석 KDI 공공경제연구부장
- 발표 1 경제혁신을 위한 재정정책의 효과성 제고 방안에드윈 라우 OECD 공공거버넌스국 예산·공공지출부장
- 발표 2 재정분석과 지식경제: 영국의 사례찰스 프라이스 영국 재무부 지적재산팀 부국장
- 발표 3 창업 및 혁신 부문에 대한 지출 분석: 에스토니아의 사례조나스 패렌손 에스토니아 재무부 국가예산국 자문관
- 토 론 김민호 KDI 연구위원
김상우 국회예산정책처 산업고용분석과장
김태곤 기획재정부 산업중소벤처예산과장
- 2일차 / 9월 6일 (금)
- 09:00-09:20
등록 및 네트워킹
- 09:20-11:20
세션 3. 미래 고용구조 변화와 재정정책의 역할
- 사 회 최경수 KDI 지식경제연구부장
- 발표 1 일의 미래와 재정정책: OECD의 사례스테인 브루커 OECD 선임이코노미스트 겸 “일의 미래”이니셔티브 총괄
- 발표 2 미래를 위한 교육과 훈련: 싱가포르의 사례마이클 펑 싱가포르 직업훈련품질관리기구(SkillsFuture Singapore) 부소장
- 발표 3 미래도전과 새로운 정책 실험: 핀란드의 사례이라 알란코 핀란드총리실 전략팀 수석전문가
- 발표 4 혁신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시도: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이민석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학장
- 토 론 박윤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오계택 한국노동연구원 기획조정실장
남경철 기획재정부 복지예산과장
- 11:20-11:30
휴식
- 11:30-12:40
종합토론
- 사 회 안상훈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소장
- 토 론 레베카 필리스 스웨덴국세청 조세팀장
크리스 웨버 영국 내각사무처 개방형혁신팀장
에드윈 라우 OECD 공공거버넌스국 예산·공공지출부장
이라 알란코 핀란드총리실 전략팀 수석전문가
천 샤오치앙 중국재정과학연구원 자원환경연구센터장
안도걸 기획재정부 예산총괄심의관
- 12:40~12:50
폐회식
- 폐회사 안일환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문의: KDI 미디어운영팀 고정원 044-550-4260, cwkoh@k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