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재정의 역할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소통 - 세미나 - 컨퍼런스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국제컨퍼런스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재정의 역할
한국의 장기재정전망과 재정혁신 과제

김학수2022.12.06

발표 1.  한국의 장기재정전망과 재정혁신 과제
김학수ㅣKDI 선임연구위원


□ 급격한 인구구조변화에도 불구하고 현행 제도·규정·관행이 지속될 경우 국가 채무비율은 2060144.8%로 급증, 재정여건이 악화될 전망되므로 불합리한 제도 ·규정·관행의 개선 등 재정혁신을 강력히 추진할 필요
 
□ 기준선 전망에 사용된 인구구조와 GDP 대비 재량지출 비율에 대한 전제가 실현되지 않으면 추가적인 재정위험이 초래될 전망
 
○ 기준선 전망의 기본 전제 중 하나인 중위기준 대신 저위기준 인구구조로 접근하면 2060년 국가채무비율은 170%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상 재량지출 수준(GDP 대비 14.4~14.7%)2026~2030년 동안 코로나19 위기 이전 평균 11.8%로 점진적으로 축소되지만, 이러한 축소된다는 전제가 실현되지 않고 202514.7%2060년까지 유지되면 2060년 국가채무비율은 230%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미래의 경제사회위기 대응에 필요한 재정여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재정혁신 과제를 강력히 추진해야 하며, 그 첫걸음은 재정준칙의 법제화임.
 
○ 내국세수에 기계적으로 연동돼있는 비합리적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산정방식의 개혁, 재량지출의 추가 통제, 세입기반 확충이 함께 추진되면, 2060년 국가 채무비율은 기준선 144.8%에서 87.6%로 개선 가능
 
○ 모든 사회구성원의 이해와 적극적 참여가 수반될 때, 재정여력 확충에 필요한 여러 재정혁신 과제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음.
 
재정준칙의 법제화는 국가재정을 항상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현세대 미래세대 사이의 보다 정의로운 재원배분을 약속하는 사회적 합의로서 향후 추진되어야 할 재정혁신 과정의 첫걸음
 
 
첨부파일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