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식사로 사과🍎 챙겨 먹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아침사과를 즐기는 1인인데, 슬프게도 최근 제 아침식사 루틴이 깨졌답니다😢 사과가 금값이 되었기 때문이죠. 내년에는 사과를 맘 편히 먹을 수 있을까요? 물가는 보다 안정되고, 내수는 회복세로 돌아올까요? 오늘 발표된 따끈따끈한 KDI 경제전망 보고서로 만나보세요! (깜짝 이벤트도 준비했어요✨) |
👩💻 오늘의 What's Up 요약 ◾ 올해와 내년 대한민국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KDI 경제전망을 발표합니다! ◾ 강수량 100mm 늘면, 신선식품가격 0.93% 상승! 날씨-물가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 최근 경제가 회복세인데, 민간소비가 부진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 경제성장률: 2024년 2.6%, 2025년 2.1% 전망 ✔️ 소비자물가 상승률: 2024년 2.6%, 2025년 2.1% 전망 ✔️ 취업자 수 증가폭: 2024년 24만명, 2025년 17만명 전망 |
경기회복세 이끄는 수출, 내수 부진 완화는 천천히⏳ |
우리 경제는 2024년에 수출이 급증하면서 2.6% 성장한 후, 2025년에는 내수 부진은 완화되겠으나 수출 증가세가 조정되면서 2.1% 성장할 전망입니다. 올해 성장률이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2023년 경기 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이기에, 2025년에 이르러서야 경기가 중립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 해석됩니다.
◾민간소비: 고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올해 1.8% 증가, 내년 1.9% 증가 ◾설비투자: 반도체경기 상승으로 올해 2.2% 증가, 내년 고금리 기조 완화로 3.1% 증가 ◾건설투자: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올해 -1.4%, 내년 -1.1% 전망 ◾상품수출: 반도체를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올해 5.3%, 내년 2.3% ◾소비자물가 상승률: 내수 부진으로 작년보다 낮은 올해 2.6%, 내년 2.1% 기록 예상 ◾경상수지: 수출 회복세로 올해 703억 달러, 내년 778억 달러 흑자 예상 ◾취업자 수 증가폭: 생산가능인구 감소 및 내수 부진으로 올해 24만 명, 내년 17만 명
한편, 국제 유가가 급등하거나 중국의 부동산경기 부진이 실물경제로 파급되는 경우 우리 경제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으며, 2024년 말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기조 심화 여부에 따라 수출 중심의 성장세가 약화될 수도 있겠습니다. |
2024-2025년 우리나라 경제정책 방향은요? 🎯 |
✅ 재정정책 경기가 점차 회복이 확대되는 가운데, 관리재정수지 적자폭을 축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나아가 경기침체 시기가 아닌 평상시에는 재정여력을 확보하고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한 지출구조 개편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 통화정책 물가상승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중립 수준으로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미국 등 특정 국가의 정책 기조를 따르기보다 우리 경제의 물가와 경제 흐름을 감안한 통화운용이 필요합니다.
✅ 금융정책 현재 금융시장의 시스템리스크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다만, 부실기업 및 부실 금융기관에 대해 자산 정리를 통한 재무 정상화 등을 유도해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자기 책임 원칙을 강화하는 금융정책이 바람직합니다. |
🎁 KDI 경제전망 이벤트 OPEN! 지금 바로, 경제장학생에 도전하세요! |
오늘 Featured에 소개한 보고서, 잘 읽어보셨나요? 그렇다면, 여러분의 이해력을 확인할 시간⏰ '경제전망 모의고사' 문제 풀고, 경제장학생👨🎓에 도전하세요!
✔️ 시험기간: 5월 16일(목) ~ 5월 27일(월) 까지 ✔️ 당첨인원: 정답자(1만 원), 경제장학생(3만 원), 총 100명 당첨 ✔️ 장학생 당첨 Tip: 3번 서술형 문제를 정성껏 작성하면, 당첨 확률 UP! UP!
|
경제는 회복세인데, 왜 소비는 여전히 부진할까? 현안분석 <고물가와 소비부진: 소득과 소비의 상대가격을 중심으로> 마창석 부연구위원, 정규철 경제전망실장
소비부진의 원인은 물가였습니다. 물가가 올라 구매량이 줄어들어 마치 돈을 덜 쓴 것처럼 보인 거죠. 물가의 상승으로 2023년 실질구매력 증가율은 0%에 그쳤다고 하는데요. 실질구매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인, 국제유가와 반도체 가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니 국제유가 상승률이 낮아지거나 반도체 가격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우 실질구매력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앞으로 반도체가격의 상승이 예상되므로, 실질구매력이 개선될 수 있겠다고 저자는 전망합니다.
|
잦아지는 기상이변...집중호우 마다 물가 오르면 어쩌나? 현안분석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이승희 부연구위원
최근 과일을 중심으로 신선식품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기온과 강수량 등의 날씨 충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날씨 충격은 단기적으로 신신식품 가격을 중심으로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며, 기온보단 강수량 충격의 영향이 더 큰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신선식품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이 근원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통화정책이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
💡 컨퍼런스 소식 국민연금 개혁방향,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사전등록 신청, 서두르세요! |
📅 2024. 5. 23.(목), 09:30~12:00 📍 서울 프레스센터 서울클럽룸(18F) 📝 발제1: 완전적립식 국민연금 구조개혁 방안(KDI 신승룡 박사) 📝 발제2: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와 합리적 연금개혁 방안(충남대 정세은 교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