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사우디아라비아-알제리-쿠웨이트 스타트업·중소기업 분야 역량강화 연수 개최
KDI2023.11.20
- 일 시: 9월 11일(월) 09:30~13:00
- 기 간: 11월 20일(월)~24일(금)
- 장 소: 서울 글로벌지식협력단지
- 주 관: KDI
* 별첨. 현장 사진
담당자:
김예림 KDI 글로벌지식협력단지운영단 국제협력2팀장 (02-6312-4088, kimyerim@kdi.re.kr)
최수연 KDI 글로벌지식협력단지운영단 국제협력2팀 연구원 (02-6312-4068, s.choi@kdi.re.kr)
- 기 간: 11월 20일(월)~24일(금)
- 장 소: 서울 글로벌지식협력단지
- 주 관: KDI
- □ KDI는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알제리-쿠웨이트 스타트업·중소기업 분야 역량강화 연수’를 개최
- KDI 글로벌지식협력단지운영단(GKEDC)은 한국의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주요 협력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쿠웨이트의 정책 수요를 고려하여 이번 역량강화 연수를 기획
- 이번 연수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산업광물자원부, 투자부, 수출개발청,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은행, 주한사우디아라비아대사관과 알제리의 지식경제스타트업극소기업부, 스타트업 기금 및 쿠웨이트의 국가중소기업발전기금, 주한쿠웨이트대사관 등 스타트업, 중소기업 관련 정책 실무자와 기업 관계자 등이 연수단으로 참여
- KDI는 이번 연수를 통해 한국의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KSP 사업 연계 방안을 살피는 한편, 국내 민간기업의 해외 중동 진출에 기여하기 위해 개최
- □ 1일차(20일) 스타트업·중소기업 정책 및 서울 지역 스타트업 사례 세미나는 ①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정책 ②한국 정부에서 출자한 벤처 모펀드 수혜 스타트업 사례 ③대기업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및 사례 세션으로 구성
- 첫 번째 세션에서는 이승협 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이 한국의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정책에 대해 발제
- 두 번째 세션에서는 이지선 엔젤스윙 부대표, 김재승 모빌테크 대표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사례와 한국 정부의 모태펀드 활용 경험을 소개
- 세 번째 세션에서는 대기업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사례로 김준회 삼성전자 창의개발센터 프로가 삼성 C-Lab을 설명하고, 이상민 뉴빌리티 대표와 이종헌 포엘 대표가 C-Lab의 지원으로 확장한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
- □ 연수 2~4일차인 21일(화)부터 23일(목)까지는 공공부문 모태펀드 운용과 창업투자회사 사례 세미나, 중앙정부와 공공기관 벤처 및 기술보증 정책 세미나, 지방자치단체 창업 지원 정책 및 광주·부산 지역 스타트업 사례 세미나 등을 진행
- 2일차(21일)에는 KDB와 한국벤처투자에서 추진하는 각 기관의 모펀드 운용 사례를 소개하고 창업투자회사(위벤처스, 라이트하우스컴바인베스트, 인라이트벤처스 등)의 경험을 공유하는 세미나를 실시
- 3일차(22일)에는 중소벤처기업부, 기술보증기금, 창업진흥원과 면담을 통해 중앙정부 및 공공기관의‘벤처 및 기술보증’등 창업 활성화 정책을 논의
- 4일차(23일)에는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하여 지자체 창업 지원 정책을 논의하고, 광주와 부산 지역 스타트업(센디, 리턴박스, 오톰 등)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경험을 소개하는 사례 세미나를 실시
- □ 연수 마지막 날인 24일(금)에는 스타트업·중소기업 KSP 및 사업제안서 작성 세미나를 실시, ①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분야 KSP 사례 ②KSP 사업제안서 작성·발제 ③KSP 사업제안서 평가·수료식 세션을 진행
- 첫 번째 세션에서는 권경덕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정책자문실장이 KSP 사업 추진 현황과 중동·아프리카 지역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김종운 한남대학교 교수와 이재광 한국공학대학교 교수가 스타트업·중소기업 분야 베트남 및 벨라루스 KSP 사례를 소개
- 이후에는 각 국가의 연수 사절단이 직접 스타트업·중소기업 분야 KSP 사업제안서를 작성 발제하고, 해당 KSP 사업제안서를 평가하여 우수 제안서 시상을 진행할 예정
- □ 강동수 KDI 글로벌지식협력단지운영단장은“이번 역량강화 연수가 한-사우디, 알제리, 쿠웨이트와의 협력관계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강조하며“한국의 발전경험이 향후 각 국가의 산업 발전 정책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우리나라와의 구체적인 경제협력사업 기획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라고 밝힘.
* 별첨. 현장 사진
담당자:
김예림 KDI 글로벌지식협력단지운영단 국제협력2팀장 (02-6312-4088, kimyerim@kdi.re.kr)
최수연 KDI 글로벌지식협력단지운영단 국제협력2팀 연구원 (02-6312-4068, s.choi@kdi.re.kr)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