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
경제운영설계
1980
변화에의 도전
1990
경제위기극복
2000
경제발전모색
2010
1970
1980
1990
2000
2010
국가 발전단계에 걸맞은 효과적인 계획 모형 작성 참여
한국 경제·사회 발전 과정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계량적 분석
하버드대학교 부설 국제개발연구소(HIID)와 공동 추진
유엔인구활동기금(UNFPA), 캐나다 국제개발연구센터(IDRC)와 미국 인구협회(PC) 자금지원으로 KDI내 인구사무국 설치
대한민국 경제·사회 발전의 구체적 비전과 효과적인 정책 방향 제시
거시경제 운영 기초 전환과 개발 전략 수정 선도
자율·책임 경영의 강화를 통한 공기업 부문 혁신 방안 제시
민간 주도 시장경제로의 이행을 위하 제도적 기반 마련
1980년대 경제발전의 기반을 다진 경제안정대책 건의
사회 통합과 안정적 발전의 토대인 국민연금제도 도입의 초석 마련
보건기획단의 의료정책 연구와 의료보험제도의 도입
수입자유화 및 기능별 산업정책으로의 정부정책 변화 선도
북한경제연구부센터 설립과 남북경협 등 북한경제 연구 착수
광복 이후 50여년 경제 전 부문의 발전 과정에 대한 종합적 분석
금융실명제 도입의 중추적 역할 수행
외환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적 정책 프레임 제시
외환이기 이후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에 대한 비전과 정책과제 제시
최초의 인구고령화 관련 대규모 학제간 종합연구
국가재정의 안정성과 공공 부문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제시
효과적인 고령화 대응을 위한 노후소득보장체계 선진화 방안 제시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제고 및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방안 제시
구조전환기의 새로운 부동산 정책 패러다임 제시
「세계경제위기와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 그리고 G20의 역할」 국제회의 (10.6)
지속적인 성장과 사회통합을 견인하는 고용정책 전환의 필요성 제기
사회경제적 통합을 위한 교육 및 인적자본 구축 정책 모색
1990년대 일본경제외 비교·분석을 통한 역동성 제고 방향 제시
중국의 경제구조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선제적 대응 방안 및 전략 제시
재정 분야 비효율적 결정의 구조적 원인과 경로 규명
삶의 질 향상과 고용 창출을 위한 7대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