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시리즈 국제자본 유출입 위험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2013.12.31
- 국문요약
-
본 연구에서는 국제자본이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유출입하는 행태를 파악하여 그 위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커진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주요 투자요인에 대해 반응하는 행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글로벌 위험회피도(VIX)가 높아지거나 글로벌 유동성(주식시장의 경우 미국 단기금리, 채권시장의 경우 글로벌 통화량)이 줄어들 때 외국인 투자자는 투자자본을 회수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VIX에 대한 반응은 주식시장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채권시장에서는 유의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채권이 국내 주식에 비해 안전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또한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글로벌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이 다름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각 유동성 지표들에 반영되어 있는 투자요인이 상이하여, 투자자들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경제여건을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가 개선되는 경우 외국인 투자자는 자금을 오히려 회수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국내 경제여건이 국내 투자자에게 상대적으로 중요한 투자요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외국인 투자자는 대외 요인에, 국내 투자자는 대내 요인에 더 무게를 두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개방 정도에 따라 국제자본이 유출입하는 행태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글로벌 위험회피도(VIX)에 대한 반응은 자본시장의 개방 정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글로벌 유동성(주식시장의 경우 미국 단기금리, 채권시장의 경우 글로벌 통화량)에 대한 반응은 자본시장이 더 개방될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본시장이 보다 개방됨에 따라 특정 대외 요인에 대해서 외국인 투자자의 반응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투자자 국적별로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의 투자 행태가 다를 수 있음을 보였다. 특히 투자자 국적별로 증권시장에서의 투자액 비중이나 투자액 변동성만으로는 그 위험성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의 국제자본 전체 순유입 규모뿐만 아니라 세분된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에 유입된 자본의 성격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영문요약
-
This paper studied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 Korean financial markets to analyze their risk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foreign investors’ behavior responding key investment factors in Korean stock and bond markets, in which capital flows have become more volatile recently. It was found that foreign investors tended to retrieve their investment when global risk aversion (VIX) was high or when global liquidity (the U.S. short- term interest rate for stock markets and global money supply for bond markets) was reduced. The response to VI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tock markets, but the significance level in bond markets was relatively low. This result reflects that foreign investors consider Korean bonds to be safer than Korean stocks are. This paper, in addition, founded that the significance levels are different across global liquidity indices, which implies that each index reflects different aspects of investment factors and hence investors respond accordingly. For domestic economic fundamentals, rather, foreign investors tended to retrieve their investment when the coincident indicator of business cycle improved. It is interpreted as domestic economic fundamentals are more important investment factors to domestic investors than to foreign investors. That is, in adjusting portfolios foreign investors put more weights on global factors whereas domestic investors on domestic factors.
Next, this paper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capital market openness and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 Korean stock and bond markets, foreign investors’ response to global risk aversion (VIX)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pital market openness; that to global liquidity (the U.S. short-term interest rate for stock markets and global money supply for bond markets), however, was greater as capital markets were more integrated. It suggests that as capital markets are integrated, foreign investors’ response to some global factors might increase.
This paper also showed that foreign investors’ behavior in Korean stock and bond markets might be different by their nationalit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risks by looking just at relative volumes or relative volatilities across investors’ nationality. This paper, therefore, suggested that it is insufficient to analyze only total international capital inflow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ecific properties of international capital flows with disaggregated data.
- 목차
-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개방 현황
제3절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선행연구
제3장 국제자본의 유출입 행태에 대한 실증분석
제1절 실증분석모형 설정
제2절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의 외국인 투자자의 행태
제3절 우리나라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 투자자의 행태
제4장 투자자 국적별 투자 행태 분석
제1절 자본 유출입 변동성에 대한 투자자별 기여도
제2절 주식시장에서의 국적별 외국인 투자 행태 분석
제3절 채권시장에서의 국적별 외국인 투자 행태 분석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