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는"미래를 여는 연구"를 통해정책 대안을 제시합니다.
저탄소경제 전환 전략과 정책과제
분야별 재정지출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KDI는한걸음 더 가까이여러분께 다가섭니다.
KDIːangle - KDI만의 새로운 시선
KDI의 소식과 경제정책정보를뉴스레터로 받아보세요.
since 1971한국개발연구원의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경제 현안을 분석하여, 경제 동향과 전망을 발표하고 현 경제 상황에 필요한 정책방향을 제시
KDI의 시대별 주요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한국개발연구원의 정보공개제도를 안내해 드립니다.
북한경제리뷰 11월호에서는 변화하는 세계질서속에서 북한 문제가 이제까지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국제적 모습을 띠게 될 가능성에 대해 토론한 내용을 다룸
2024년 우리 경제는 내수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2.2% 성장할 전망
심상치 않은 중국 부동산 경기...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영향을 KDI 경제전망실장이 직접 분석해봤습니다.
서비스업생산의 완만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 업생산과 수출의 부진이 완화되고 있음
04월 11일 10:00~16:25
KDI 및 Brookings 연구소 공동주최
03월 23일 14:00~15:30
KDI 국제개발협력센터(CID)
03월 07일 15:00~17:00
01월 19일 14:00~16:00
#국제개발협력 일반(기타)
강경재(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