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 대한 정책 왜곡의 거시경제적 함의: 생산, 투자 및 생산성에 대한 비교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연구 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정책연구시리즈 기업에 대한 정책 왜곡의 거시경제적 함의: 생산, 투자 및 생산성에 대한 비교 2016.12.31

표지

Series No. 2016-13

정책연구시리즈 기업에 대한 정책 왜곡의 거시경제적 함의: 생산, 투자 및 생산성에 대한 비교 #거시경제모형 #중소기업

2016.12.31

  • KDI
    오지윤
국문요약
한국의 소규모 사업체 비중은 미국, 일본 등과 같이 경제규모가 큰 나라에 비해서뿐만 아니라 비슷한 경제규모를 가진 대만과 비교해 보아도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10명 미만을 고용한 영세 사업체의 비중이 두드러진다. 반면, 이와 같은 영세 사업체가 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낮은 편이다. 이를 종합하면 소규모 사업체들은 평균적 생산성이 다른 나라에 비하여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을 지속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한국의 중소기업정책의 규모는 OECD 국가들 중에서 매우 높은 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에서는 규모의존정책이 야기할 수 있는 기업 간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에 대하여 거시적으로 고찰한다. 중소기업 정책금융 또는 보조금의 효과에 대해서는 분석 연구들이 일부 존재한다. 그러나 거시적 관점에서 규모의존정책이 거시변수, 즉 생산, 투자, 소비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은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선택이 가능한 두 부문 일반균형 모형을 세운 후 한 부문에서 자본 관련 규모의존정책이 실시될 경우 거시변수들의 변화와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약이 없는 경제에 비하여 규모의존정책이 실시된 경제의 경우 생산, 자본, 노동 및 사업체생산성과 노동생산성이 하락하였다. 생산의 경우 특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 대한 자본세가 10% 증가할 때마다 약 4.2~6.5% 정도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규모 분포는 자본세가 10% 증가할 때마다 기업의 평균 고용인원이 약 1.35명에서 1.98명 정도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규모의존정책이 실시되는 부문의 생산 비중이 10% 커질 때 생산하락폭이 1.3~1.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요약
The proportion of small sized firms in Korea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ose of comparable countries such as Taiwan, as well as large economy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owever, small firms’ share of value added in Korea is lower than these countries. This means that despite the relatively low productivity of small businesses, it continues to operate. This seems to be related that Korea`s SME policy is highly supportive among OECD member n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inefficiency of resource misallocation resulting from size-dependent policies. Establishing a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two sectors that allow the career choice(the span-of-control), we investigate the changes in key aggregate variables if size-dependent policy is implemented in capital use. As a result, the capital, labor, productivity and output were declining in the economy of size-dependent policy. For example, output decreased by 4.2%~ 6.5% if capital tax increases more by 10% only for large firms. The firm size distribution is skewed to the left, so that the average number of employees decrease by 1.35~1.98. This negative effect is amplified in the case that the value added share of distorted sector is larger in the economy.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한국 기업규모 분포의 변화
 제1절 최근 사업체 분포 현황
 제2절 사업체 규모 분포의 변화
 제3절 한국과 외국의 사업체 규모 분포

제3장 한국의 규모의존정책(size-dependent policy)
 제1절 중소기업 직접지원정책
 제2절 해외와의 비교

제4장 기업규모 정책에 대한 분석 모형
 제1절 선행연구
 제2절 분석 모형
 제3절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제4절 시뮬레이션의 결과 및 의미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 표
부 록
ABSTRACT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