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시리즈 투자와 경기변동: 기업의 투자의사결정 모형을 중심으로 2020.12.31

Series No. 2020-07
- 국문요약
-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투자이산(離散)이 경기순응적임을 확인한 후,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에서 조정비용함수(adjustment cost function)의 형태가 중요한 기제(機制)로 작동하여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거시경제모형이 아닌 기업의 재무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거시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가정하는 투자조정비용함수가 한국경제에서 비대칭적이며, 비가역적임을 보인다. 특히 본 연구는 조정비용함수에서 설비자산 확대를 위한 투자보다 설비자산매각에 따른 추가적인 조정비용이 투자를 결정할 때 시간 間(inter- temporal) 투자의 한계비용 대비 한계가치의 대체효과에 영향을 미쳐 투자의 離散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결국 투자조정비용함수가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쳐 투자離散이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는 투자조정비용함수의 모수들이 거시경제모형에서 경기변동의 동학(dynamics)을 맞추기(fitting) 위한 깊은 모수(deep parameter)가 아니라, 정책에 의해 내생화될 수 있는 거시정책변수(policy variable)가 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 영문요약
-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at the form of the adjustment cost function serves as an important mechanism in investment decision-making after confirming that the investment dispersion of Korean companies is pro-cyclical and can affect economic fluctuations. Specifically, it is reveal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corporate financial data rather than a macroeconomic model that the investment adjustment cost function generally assumed in macroeconomics is asymmetric and irreversible in the Korean economy. In particular, since the substitution effect of the marginal value-to-cost of a one-unit investment in inter-temporal investment decision-making is affected by the additional adjustment cost from the sale of equipment assets, and not the investment in equipment assets, it is empirically proven to lead to an expansion of investment dispersion. This ultimately shows, albeit indirectly, that investment dispersion can affect economic fluctuations as the investment adjustment cost function influences the decision-making in investment. What is implied here is that the adjustment cost function is not merely a deep parameter that fits the dynamics of economic fluctuations in a macroeconomic model, but it could be a macro policy variable that can be endogenized through economic policy.
- 목차
-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기업의 투자와 경기변동의 관계
제1절 기업투자의 의사결정
제2절 기업의 투자조정비용함수
제3절 기업투자와 경기변동
제4절 한국의 기업투자와 경기변동
제3장 기업의 투자모형 및 실증분석 방법론
제1절 기업의 투자결정모형
제2절 실증분석 자료
제3절 실증분석 방법론: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제4장 실증분석 결과: 투자와 경기변동
제1절 투자조정비용함수의 추정
제2절 투자조정비용함수와 경기변동
제3절 실증분석과 Simulation의 비교
제4절 Digression: 산업별 투자조정비용함수 및 Q이론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결론 및 한계점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