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대학 전공분야 선택과 정부의 역할 2018.12.31
- 국문요약
-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우리 사회는 혁신을 이끌어갈 융복합적⋅창의적 인재를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받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들 중 특히 전공분야 선택의 왜곡 가능성에 주목한다. 다양한 전공교육의 공급자인 대학이 지닌 제도적 제약과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직면한 정보적 제약 등에 관한 다양한 각도의 실증적 분석을 통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다양한 교육정책들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대학 전공분야와 직업 간의 불일치(mismatch) 현상을 국제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우리나라의 전공과 직업 간 미스매치는 다른 나라들의 평균적 미스매치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그 차이의 절반 정도가 대학 전공 선택의 차이에 기인한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애초에 미스매치가 높을 수밖에 없는 전공 분야로 진입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다.
- 영문요약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oles of various frictions in the field-of-study choice in higher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on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On the supply side, institutional constraints may distort the required adjustment of educational supply across majors within universities. And, on the demand side, informational frictions on market returns and own comparative advantage may distort students’ application decisions. The current matching mechanism for college admissions which clears the market may cause additional inefficiency.
The empirical investigation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the government control of university-level enrollment quotas in Seoul and the vicinity slows the adjustment of major-specific enrollment quotas within those universities; lifetime earnings significantly differ across majors, and the enrollment quotas for special majors such as health and education play a key role in the differences; the timing of field-of-study decision can alter the field-of-study at graduatio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college freshmen want to change their college and major, mainly due to bad luck in college admissions and partly due to incomplete information on their comparative advantage; and finally, while the expected earnings by college freshmen are close to the actual earnings of past graduates,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is highly heterogeneous by student characteristics.
After reviewing exis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is study make suggestions to promote field choice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social welfare.
- 목차
-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1부 현황 및 문제점
제2장 대학 전공과 직업의 미스매치: 국제비교
제1절 전공-직업 미스매치
제2절 미스매치의 개념
제3절 데이터를 활용한 미스매치 분석
제3장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제1절 입학
제2절 졸업
제3절 소결
제2부 교육공급 측 제약
제4장 총량적 정원규제와 전공 간 정원배분의 문제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수도권 사립대학 정원에 대한 총량적 규제
제3절 데이터
제4절 계량모형
제5절 추정 결과
제6절 강건성 검증
제7절 추가토론: 전공별 차이
제8절 소결
제5장 전공별 생애소득 격차
제1절 전공별 생애소득과 전공 선택
제2절 기존 문헌
제3절 데이터
제4절 추정식
제5절 추정 결과
제6절 토론: 전공별 정원규제
제6장 대학 전공분야 선택 시기의 문제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기존 문헌
제3절 제도적 배경: 모집단위 광역화와 세분화
제4절 데이터
제5절 계량모형: 이중차분 회귀분석
제6절 추정 결과
제7절 강건성 검증
제8절 소결
제3부 교육수요 측 제약
제7장 대학 신입생 설문조사: 전공 선택의 과정
제1절 서론: 전공 선택의 과정
제2절 설문조사 개요
제3절 설문조사 결과(1):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경험 및 전공 선택
제4절 설문조사 결과(2): 대학입시
제5절 설문조사 결과(3): 현재의 대학생활과 향후 계획
제8장 대학 신입생 설문조사: 심층분석
제1절 대학과 전공의 변경 가능성에 관한 주관적 확률
제2절 현행 교육과정과 입시제도가 발생시키는 미스매치
제3절 취업과 관련된 학생들의 기대
제4부 현재의 교육정책 및 개선방향
제9장 현재의 교육정책 및 개선방향
제1절 교육공급 측 정책
제2절 교육수요 측 정책
제3절 맺음말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동일 주제 자료 ( 10 )
- 주요 관련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