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 충격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러시아 지정학적 위험과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연구 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정책연구시리즈 대외 충격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러시아 지정학적 위험과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2022.12.31

표지

Series No. 2022-05

정책연구시리즈 대외 충격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러시아 지정학적 위험과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물가, 이자율 및 통화정책 #세계경제 및 경제위기 #국제거시 #국제경제

2022.12.31

  • 프로필
    김준형 동향총괄
국문요약
본 보고서에서는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먼저 최근 대외 불확실성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러시아 지정학적 위험과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그 자체로 국내 투자와 산업생산 등 국내 주요 거시변수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야별로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수출과 제조업이 대외 불확실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대외수요의 감소가 주요 파급경로임을 확인하였다. 미시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에서도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이 일관적으로 발견되었다. 먼저 수출품목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대외 불확실성의 확대가 (i) 저소득 국가로의 수출과 (ii) 자본재 수출을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 단위의 분석을 통해 금융제약과 투자의 비가역성이 불확실성의 주요 파급경로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대외 불확실성의 영향을 요인별로 구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불확실성의 여러 전파경로를 확인하고, 거시분석과 미시분석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불확실성의 파급경로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급변하는 대외 상황에 대한 정책 기조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요약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external uncertainty on South Korea’s real economy. By exploiting variations in geopolitical risks posed by Russia and the uncertainty surrounding US monetary policy ― both of which are plausibly exogenous to the Korean economy, the study reveals that such uncertainties negatively impact Korea’s key domestic macroeconomic variables. Notably, this adverse effect is distinctively evident in sectors like exports and manufacturing due to their high sensitivity to external demand dynamics. Using micro-data, the study further indicates that external uncertainty significantly reduces (i) exports to low-income countries and (ii) exports of capital goods. Additionally, the analysis confirms that financial constraints and the irreversibility of investment decisions play pivotal roles in amplifying the effects of external uncertainties.

This study enriches the existing literature by quantifying the impact of external uncertainty using novel instruments ― the geopolitical risk emanating from Russia and the uncertainty surrounding US monetary policy. These findings can offer insights that can guide the formation of resilient policy, aptly designed for a dynamic external landscape, while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external uncertainty influences real economy at both macro and mirco levels.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선행연구

제3장 대외 불확실성 척도
 제1절 러시아 지정학적 위험과 미 통화정책 불확실성

제4장 대외 불확실성의 파급영향: 거시분석
 제1절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거시변수에 미치는 영향
 제2절 대외 불확실성의 전파경로: 세계교역량 감소경로를 중심으로

제5장 대외 불확실성의 파급영향: 미시분석
 제1절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제2절 대외 불확실성이 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도서 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