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후 고용구조 및 소득격차 변화: 노동패널 분기자료를 활용한 분석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연구 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정책연구시리즈 코로나19 전후 고용구조 및 소득격차 변화: 노동패널 분기자료를 활용한 분석 2022.12.12

표지

Series No. 2022-06

정책연구시리즈 코로나19 전후 고용구조 및 소득격차 변화: 노동패널 분기자료를 활용한 분석 #인구 #고용·실업 #임금·노동생산성·임금불평등

2022.12.12

  • 프로필
    황수경 초빙연구위원(선임연구위원급)
국문요약
코로나19는 2020년 1월 한국에 처음 상륙해 무려 3년 가까이 우리의 일상을 뒤흔들었다. 코로나19는 노동시장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는데, 2020년 3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20~4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절정에 이른 2021년 1월에는 약 10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그해 3월부터 고용이 빠르게 회복되어 2022년 9월 현재 외견상 코로나 이전 상태를 완전히 회복한 듯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첫째, 코로나 위기를 전후로 우리 노동시장의 고용구조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둘째, 고용의 양적 회복이 확인되는 가운데 임금(소득)과 같은 질적 측면에서도 예전 수준으로 충분히 회복되었는가? 이 두 질문은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특정 유형의 근로자에게 불균등하게 피해를 초래했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다. 마지막 질문은 코로나19의 고용 충격 이외에 또 다른 노동시장 변화요인이 작용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최근의 고용 증가 양상이 지금까지의 경험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 원인을 찾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들을 분석하기 위해 노동패널(KLIPS) 18차(2015년)부터 24차(2021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는데, 연간 단위로 조사되는 자료를 분기별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코로나19를 전후한 분기별 고용 동학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KLIPS 직업력 자료에서 확보된 개인별 직업이력으로부터 각 분기별 고용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기별 노동이동과 그에 수반된 소득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기별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 연간자료를 분석할 때보다는 더 많은 단기 일자리 변동이 분석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영문요약
COVID-19 first appeared in Korea in January 2020, reshaping our daily lives over nearly three years. The pandemic exerted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labor market, resulting in a decline of 200,000 to 400,000 jobs in March 2020 compared to the same month the previous year. By January 2021, when the pandemic peaked in Korea, job losses approximated 1 million. Nevertheless, from March 2021 onward, employment trajectories showed a rapid ascent, and by September 2022, indicators seemed to have returned to pre-COVID level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port poses three research inquiries. First, has the employment structure of our labor market undergone any trans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disruption? Second, while the quantitative recovery of employment is observed, has its quality, i.e., wage (income), been adequately restored to its preceding state? The purpose of these two questions is to determine if the employment shock caused by the pandemic disproportionately affected certain worker cohorts. The third query endeavors to identify factors external to the pandemic that might have exerted influence on the labor market, specifically exploring potential reasons for the observed deviation in recent employment patterns from historical trends.

This study sourced datasets spanning the 18th (2015) to the 24th (2021) series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The annual data was restructured into a quarterly format, thereby facilitating an analysis of employment dynamics across pre- and post-COVID intervals. Quarterly employment figures were derived from individual employment records curated by KLIPS to examine labor state transitions and associated income fluctuations within the quarterly timeframe. This quarterly analytical paradigm offered an advantage in capturing more short-term job transitions than annual data might have.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선행연구
 제1절 코로나19의 고용 충격
 제2절 소득격차에 미친 영향

제3장 분석자료
 제1절 분기자료의 구축
 제2절 분기자료의 기초통계와 특성

제4장 코로나19 전후 고용상태 이동의 특징
 제1절 코로나19 영향의 퇴직
 제2절 고용상태 이동률 추이
 제3절 상태이동 유형별 근로자의 연령 구성

제5장 근로소득의 변화와 격차 추이
 제1절 코로나19 전후의 근로소득 변화 추이
 제2절 코로나19 영향 퇴직자의 특성과 임금격차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분석 결과의 요약
 제2절 2019년의 고용 위축에 대한 재론
 제3절 남은 과제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도서 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