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Monograph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Sustainability in Korea December 31, 2015

Series No. 2015-05
December 31, 2015
- Summary
-
Pressured by mounting social conflict, Korean society is struggling on weak capabilities to secure social trust and coordinate public issues. The nation already bears the heavy weight of old feuds: chronic ideological conflict born from the long history of war and division; regional conflict caused by un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division, which are rooted in party politics; and ethnic conflict arising from the growing influx of foreigners. However, combined with aggravat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social cohesion is poised to become an even bigger challenge for Korea.
This study is the result of multidisciplinary efforts to analyze and seek out feasible solutions to newly looming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not simply the consequence of rapid changes within Korean society and resultant widening gap of experiences and awareness between generations.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generations can be triggered by structural chang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distribution and investment brought on by a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slow-growth phase of the economy, among others. This is well reflected in some young adults’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welfare policy,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and housing price stimulus plan.
In recognition of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generational disparities in terms of social awareness regarding social values, political behavior patterns and citizenship; which often sew the seeds of conflict as well as provide ways to reveal them. Then, it looks into intergenerational equity issues with respect to tax revenue and expenditure, encompassing the intergenerational tax burden and public transfer expenditure. Furthermore, it analyzes intergenerational problems in key social policy areas, including employment, housing and pension, and presents a win-win solution. Finally,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to improve policy governance which will, in turn, enhance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sustainability.
- Contents
-
발간사
요 약
제1부 서 론
제1장 문제 제기 및 연구 개관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동기
제2절 개념적 정의와 연구 방법
제3절 연구의 개관
참고문헌
제2부 세대별 차이 분석과 갈등 진단
제2장 세대 간 상호 인식과 세대별 가치관의 분석
제1절 서 론
제2절 연령대 간 상호 인식의 분석
제3절 연령대별 세대 정체성과 경제적 생애 전망
제4절 연령대별 가치관과 정책 견해의 비교
제5절 세대 간 인식의 국제 비교
제6절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정치행태로 바라본 세대별 차이 분석
제1절 서 론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제3절 연구 방법
제4절 분석 결과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4장 시민성의 세대별 차이 분석
제1절 서 론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제3절 연구 방법
제4절 세대와 시민성 분석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3부 정부재정의 세대 간 문제 분석
제5장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조세부담의 개선방향
제1절 서 론
제2절 재정부담 및 세부담 현황
제3절 조세 측면에서 세대 간 관점을 고려한 모형
제4절 세대 간 조세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 분석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제6장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사회지출의 개선방향
제1절 서 론
제2절 사회지출 배분 현황과 문제점
제3절 세대 간 사회지출 관련 주요 쟁점과 국민인식
제4절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사회지출 관련 해외 사례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제7장 국민이전계정을 이용한 공적이전의 세대 간 형평성 분석
제1절 서 론
제2절 세대 간 형평성의 이론적 배경
제3절 세대 간 형평성의 실증 방법론: 국민이전계정
제4절 자료의 기술적 분석
제5절 세대 간 형평성 시뮬레이션 모델
제6절 시뮬레이션 결과
제7절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제4부 주요 사회정책의 세대 간 문제 분석
제8장 세대 간 상생을 위한 고용정책의 개선방향
제1절 서 론
제2절 청년 및 중장년 세대의 고용문제와 세대별 인식
제3절 세대 다양성과 조직 경쟁력
제4절 임금피크제와 청년고용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9장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주택 관련 정책의 개선방향
제1절 서 론
제2절 연구 배경
제3절 실증분석
제5절 정책 개선 방향
제6절 결 론
참고문헌
제10장 세대 간 상생을 위한 공적연금제도의 개혁 방안
제1절 서 론
제2절 공적연금제도 현황과 세대 간 재분배
제3절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세대 간 재분배 기대와 결정요인
제4절 세대 간 상생을 위한 공적연금 개혁 방안
참고문헌
제5부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정책 제언
제11장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의 개선방향
제1절 서 론
제2절 세대 간 상생 관점에서의 정책 거버넌스 진단
제3절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 모형의 모색
제4절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참여적 정책 거버넌스의 기반 진단
제5절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참여적 정책 거버넌스의 추진전략
제6절 결 론
참고문헌
제12장 요약 및 정책 제언
제1절 분석 결과 요약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If you want to know more in detail?
- Key related materials
We reject unauthorized collection of email addresses posted on our website by using email address collecting programs or other technical devices. To access the email address, please type in the characters exactly as they appear in the box below.
Please enter the security code to prevent unauthorized information collection.